본문 바로가기
여행(관광)지

광주 남구 양과동정 등 숨은 명소

by 참도움 2025. 2. 2.

광주 남구에 있는 숨은 명소 "양과동정, 정엄정려비, 지산재, 필문 이선제부조묘, 사직단, 양림동 선교사 묘지, 우일선 선교사 사택, 고싸움놀이테마파크, 광주공원, 사직 빛의 숲" 정리

 

 

광주 남구 광고

 

 

 

광주 남구 '양과동정'

양과동정

 

양과동정은 조선시대 향약을 시행하던 곳으로, 간원대라고도 불렸어요. 양과동 출신들이 임금님께 올리는 상소를 여기서 논의했대요. 정확한 건립 시기는 몰라도 조선시대 건물로 추정되고요.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2칸짜리 사람 인(人)자 모양의 지붕을 가진 정자예요. 현판 글씨는 송시열 선생님이 쓰셨고, 안에는 향약 관련 글들이 걸려 있답니다. 양과동, 조선시대, 향약, 간원대, 송시열 등의 키워드를 통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썼어요.

 

주소(위치): 광주광역시 남구 양과동 166-1

이용시간: 상시 개방

휴무일: 연중무휴

홈페이지: https://tour.gwangju.go.kr/

문의처: 광주광역시 남구 문화관광과 062-607-2333

 

양과동정 더보기

 


 

광주 남구 '정엄정려비'

정엄정려비

 

효자 정엄의 정려비와 정려각은 멋진 돌로 만들어졌어요. 정려비는 2단 받침 위에 세워졌고, 비 머리는 종 모양이에요. 정려각은 돌기둥 네 개로 지었고요, 효자 정엄은 훌륭한 관료였지만, 어머니를 지극 정성으로 섬겼대요.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슬픔에 잠겨 병으로 돌아가셨고, 그 효심을 기려 국가에서 정려를 내렸답니다. 정려각은 낡아서 1975년에 다시 지었대요. 정려각 안에는 충견 관련 이야기도 전해져 내려온대요.

 

주소(위치): 광주광역시 남구 서서평길 24

이용시간: 상시개방

휴무일: 연중무휴

주차장: 불가능

홈페이지: https://tour.gwangju.go.kr

문의처: 062-607-2332

 

정엄정려비 더보기

 


 

광주 남구 '지산재'

지산재

 

경주 최씨 시조 최치원을 모신 지산재는 광주 지역의 중요한 문화유산입니다. 원래 지산사 강당이었던 곳은 서원으로, 영당으로 변천하며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을 겪었지만, 1922년 경주 최씨 문중에 의해 복원되었습니다. 지산재는 정면 4칸, 측면 1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최치원을 기리는 공간입니다. 외삼문, 동재, 서재, 내삼문, 영당 등 부속 건물과 1985년 건립된 유허비가 함께 있어 조선 후기 사우 건축의 역사를 보여줍니다. 지산재는 최치원과 경주 최씨 문중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곳입니다.

 

주소(위치): 광주광역시 남구 지산재길 51

휴무일: 연중무휴

주차장: 불가능

홈페이지: https://tour.gwangju.go.kr

문의처: 062-607-2332

 

지산재 더보기

 


 

광주 남구 '필문 이선제부조묘'

필문 이선제부조묘

 

주소(위치): 광주광역시 남구 구만산길 34 (원산동)

이용시간: 상시

휴무일: 연중무휴

주차장: 불가

홈페이지: https://www.namgu.gwangju.kr

문의처: 062-607-2333

 


 

 

광주 남구 광고

 

광주 남구 '사직단'

사직단

 

광주 양림동 사직공원에 있는 광주 사직단은 조선시대 땅과 곡식의 신에게 제사 지내던 곳입니다. 나라의 평화와 풍년을 기원하는 사직제를 올렸던 신성한 제단으로, 서울 사직단보다 규모는 작지만 역사적 가치가 높습니다. 갑오년 이후 폐지되었지만, 1994년 100년 만에 사직제가 부활하여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광주 사직단은 국태민안을 기원하는 역사 유적지로, 많은 분들이 찾는 곳입니다.

 

주소(위치): 광주광역시 남구 사직길 49 (사동) 사직공원 내

이용시간: 상시 개방

휴무일: 연중무휴

주차장: 불가능

홈페이지: https://tour.gwangju.go.kr/

문의처: 광주 사직공원 062-613-6475

 

사직단 더보기

 


 

광주 남구 '양림동 선교사 묘지'

양림동 선교사 묘지

 

광주 양림동 호남신학대학교에는 1909년부터 1967년까지 활동한 미국 선교사 묘역이 있어요. 23인의 선교사가 잠들어 있는 이곳은 광주 최초 기독교 전파지로, 개화와 구국 운동의 시작을 알렸죠. 배유지 목사와 클레멘트 오웬 등은 이곳에서 활발한 선교와 의료 활동을 펼쳤고, 수피아여학교 설립 등 교육에도 기여했답니다. 선교사들은 복음 전파는 물론, 교육과 의료 봉사로 광주 지역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어요. 양림동 선교사 묘역은 광주를 대표하는 역사 유적지입니다.

 

주소(위치): 광주광역시 남구 제중로 77 (양림동)

이용시간: 00:00~24:00

주차장: 가능 (호남신학대학교/유료)

홈페이지: https://tour.gwangju.go.kr/

문의처: 062-607-2333

 

양림동 선교사 묘지 더보기

 


 

광주 남구 '우일선 선교사 사택'

우일선 선교사 사택

 

광주 최고(最古) 서양식 가옥인 우일선 선교사 사택은 1920년대에 지어진 근대 건축물입니다. 미국 선교사 우일선 박사의 사택으로, 현재는 예수교 장로회 사무실로 쓰이고 있어요. 드라마 사의찬미 촬영지로도 유명하며, 정사각형 평면에 1층 거실, 2층 침실 등의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네덜란드식 벽돌 건축의 아름다움과 한국 전통 방위 개념이 조화를 이룬 귀한 문화유산입니다. 회색 벽돌과 화강석, 반원형 아치 등이 특징이며, 이국적인 분위기의 건물 외관이 매력적입니다.

 

주소(위치): 광주광역시 남구 제중로47번길 20

이용시간: 00:00~24:00

휴무일: 연중무휴

주차장: 가능

홈페이지: https://www.heritage.go.kr/

문의처: 062-607-2311

 

우일선 선교사 사택 더보기

 


 

광주 남구 '고싸움놀이테마파크'

고싸움놀이테마파크

 

광주 칠석동에 아시아 전승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고싸움놀이 테마파크가 있어요. 2010년부터 5년간 고싸움놀이 전수교육관, 영상체험관, 민속놀이 체험마당 등을 만들었대요. 부용정, 무송정 같은 아름다운 정자와 천연기념물인 할머니 당산나무도 볼 수 있답니다. 옛날부터 마을 사람들이 이 나무를 신성하게 여기고 고싸움놀이를 했다는 전통도 있대요. 아이들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곳이에요.

 

주소(위치): 광주광역시 남구 고싸움로 2 (칠석동) 칠석동 619

이용시간: 화~일 09:00 - 18:00

휴무일: 매주 월요일/신정, 설날, 추석 당일 등 (단, 월요일이 공휴일이면 다음날 휴관)

주차장: 가능

홈페이지: https://www.namgu.gwangju.kr/

문의처: 062-607-2347

 

고싸움놀이테마파크 더보기

 


 

광주 남구 '광주공원'

광주공원

 

광주공원은 광주 최고의 휴식처이자 역사가 살아 숨쉬는 곳이에요. 벚꽃 명소로도 유명하고요! 향교, 박물관, 시민회관 등 볼거리가 풍성해요. 가족, 친구, 연인과 함께 편안한 시간을 보내실 수 있도록 넓은 잔디밭과 아름다운 정원이 잘 조성되어 있답니다. 광주천과 가까워 산책하기에도 좋아요.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양동시장 등 주변 관광지와 함께 즐기시면 더욱 좋아요!

 

주소(위치): 광주광역시 남구 중앙로107번길 15 (구동)

이용시간: 상시

휴무일: 연중무휴

주차장: 가능

문의처: 062-672-0660

 

광주공원 더보기

 


 

광주 남구 '사직 빛의 숲'

사직 빛의 숲

 

광주 사직공원에 멋진 미디어아트 공원이 생겼어요! 사직단의 역사를 활용해서 만든 '사직 빛의 숲'은 조명, 영상, 음악이 어우러진 아름다운 공간이랍니다. 밤하늘의 별자리처럼 반짝이는 빛과 흥미로운 인터랙티브 아트 체험으로 가득하죠. 옛 사직단의 소망이 빛으로 다시 태어난다고 생각하면 더욱 감동적일 거예요. 가족, 친구, 연인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최고의 장소랍니다!

 

주소(위치): 광주광역시 남구 사직길 49 (사동)

이용시간: 동절기(11월~3월) 18:30~22:30
하절기(4월~10월) 19:30~23:00
※ 전망타워 라이트쇼는 21:40까지 운영

휴무일: 연중무휴

주차장: 가능(사직공원 내 주차장)

문의처: 062-613-6123

 


 

위 내용은 구석구석 지역별 여행지에서 발췌한 정보입니다.

 

 

[출처: 대한민국 구석구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