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종로구에 있는 가볼 만한 곳 "창경궁 명정전, 창덕궁과 후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청와대칠궁, 황학정, 흥인지문공원, 경희궁 흥화문, 광화문, 창경궁 홍화문, 창덕궁 인정문, 창의문(자하문)" 정리
서울 종로구 '광화문'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은 조선시대 국왕이 드나들던 곳이에요. 다른 궁궐 정문보다 훨씬 크고 화려했죠. 동십자각과 서십자각을 갖춘 유일한 궁궐 정문이기도 해요. 가운데 홍예문은 왕이, 양 옆은 왕세자와 신하들이 사용했대요. 문루에는 시계 역할을 하는 종도 있었고요. 경복궁이 조선의 중심 궁궐이라 광화문도 다른 궁궐 문보다 웅장하게 지었어요. 원래 이름은 오문이었지만, 정도전이 정문으로 바꾸고, 세종 때 지금의 이름을 얻었대요. 일제강점기 때는 조선총독부 때문에 자리가 바뀌고, 한국전쟁 때는 많이 부서졌어요. 1968년에 다시 지었지만, 원래 위치와 각도가 조금 달라요. 2006년부터 3년 넘게 공사해서 2010년에 지금의 광화문이 완성되었어요. 멋진 화강암 기단과 두 층의 문루, 3개의 아치형 문, 그리고 팔괘 문양까지! 조선시대 궁궐의 위엄을 보여주는 곳이죠.
• 주소(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 이용시간: - 1~2, 11~12월 09:00~17:00 (입장마감 16:00)
- 3~5, 9~10월 09:00~18:00 (입장마감 17:00)
- 6~8월 09:00~18:30 (입장마감 17:30)
※ 기관 사정에 따라 관람시간 단축 및 조정이 있을 수 있음
• 휴무일: 매주 화요일
• 홈페이지: https://gwanghwamun.seoul.go.kr/main.do
• 문의처: 02-3700-3900
서울 종로구 '창경궁 홍화문'
서울 창경궁 정문인 홍화문은 '덕을 널리 펼친다'는 뜻이에요.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졌지만 1616년 다시 지었대요. 창덕궁 돈화문보다 작은 3칸 규모지만, 국왕이 백성들을 직접 만나던 중요한 곳이었답니다. 영조는 세금 제도 바꿀 때 여기서 백성들 의견을 들었고, 정조는 어머니 회갑 때 홍화문 밖에서 가난한 사람들에게 쌀을 나눠줬대요. 1963년 보물로 지정된 홍화문은 동쪽을 향한 2층 건물이고, 지붕은 우진각 지붕이에요. 기둥 위뿐 아니라 사이에도 장식이 있는 다포 양식으로 지어졌고, 아래층은 문이, 위층은 작은 창문이 있어요. 지붕 꼭대기 조각상이 멋있죠!
• 주소(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와룡동)
• 이용시간: 09:00~21:00 (입장마감 20:00)
• 휴무일: 매주 월요일
※ 단, 정기휴일이 공휴일 및 대체공휴일과 겹칠 경우에는 개방하며, 그 다음의 첫 번째 비공휴일이 정기휴일임
• 주차장: 가능(22대)
• 홈페이지: https://royal.khs.go.kr/
• 문의처: 02-762-4868
서울 종로구 '창덕궁 인정문'
서울 창덕궁 인정전 정문인 인정문은 조선 국왕의 즉위식이 열린 곳이에요. 효종부터 고종까지 많은 왕들이 이곳에서 왕이 되었죠. 앞면 3칸, 옆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다포 양식의 공포가 특징이에요. 천장은 연등천장이고, 단청은 소박하게 꾸몄답니다. 인정전과 함께 조선 궁궐의 위엄을 보여주는 중요한 건물이에요.
• 주소(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 이용시간: - 2월~5월, 9월~10월 09:00~18:00 (입장마감 17:00)
- 6월~8월 09:00~18:30 (입장마감 17:30)
- 11월~1월 09:00~17:30 (입장마감 16:30)
• 휴무일: 매주 월요일
※ 단, 정기휴일이 공휴일 및 대체공휴일과 겹칠 경우에는 개방하며, 그 다음의 첫 번째 비공휴일이 정기휴일임
• 주차장: 불가
• 홈페이지: https://royal.khs.go.kr/
• 문의처: 02-3668-2300
서울 종로구 '창의문(자하문)'
서울 자하문이라고도 불리는 창의문은, 숙정문이 막혀서 북문 역할을 했던 중요한 문이었어요. 세검정, 북한산 가는 길목이라 사람들도 많이 이용했고, 세검정 근처를 자문밖이라고 부른 건 창의문 밖에 자하(紫霞)가 많았기 때문이에요. 네 개의 소문 중 유일하게 원형이 남아있는 창의문은 15평 정도의 작은 크기지만, 아주 단단하고 멋있어요. 특히, 추녀에 닭을 조각해서 매달아 놓은 게 독특한데, 지네를 막기 위한 속설 때문이래요. 인조반정 때는 반정군이 이 문을 깨고 들어와서 인조가 왕이 되었고, 영조 때는 이를 기념해서 성문과 문루를 고쳐 지었대요.
• 주소(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의문로 118 (부암동)
• 휴무일: 연중무휴
• 홈페이지: http://tour.jongno.go.kr
• 문의처: 02-2148-1822
서울 종로구 지역의 인기 맛집 찾아보기
종로구 맛집 바로가기
서울 종로구 '흥인지문'
서울 한양도성의 동쪽 문인 흥인지문은 옛날 한성부를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졌어요. 동대문으로도 불리는 흥인지문은 조선 태조 때 처음 지어졌고, 여러 번 고쳐 지은 후 지금의 모습을 갖추었답니다. 2층 건물에 우진각 지붕을 하고 있으며, 기둥 사이에도 장식이 있는 조선 후기 건축 양식을 보여주죠. 특히 적을 공격하기 좋게 반원 모양의 옹성을 갖춘 유일한 성문이에요. 1호선, 4호선 동대문역 9번 출구 바로 옆에 있고, 성곽공원, 한양도성박물관, DDP, 동대문시장이 가까이 있어서 함께 둘러보기 좋아요.
• 주소(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288 (종로6가)
• 휴무일: 연중무휴
• 주차장: 없음
• 홈페이지: https://tour.jongno.go.kr/tour
• 문의처: 02-2148-1842
서울 종로구 '백인제가옥'
서울 북촌 가회동에 있는 백인제가옥은 일제강점기 한옥으로, 멋진 근대 한옥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어요. 넓은 정원과 사랑채, 안채, 별채까지 있어서 옛날 상류층의 풍족한 생활을 엿볼 수 있죠. 특히 사랑채 2층은 조선시대 한옥에는 없는 독특한 구조예요. 드라마 '재벌집 막내아들' 촬영지로도 유명해요. 북촌이 한눈에 보이는 전망도 정말 좋답니다. 백인제가옥은 1907년 경성박람회 때 처음 선보인 압록강 흑송으로 지어졌고, 사랑채와 안채가 복도로 연결돼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어요. 전통과 근대가 어우러진 아름다운 한옥이니 꼭 방문해 보세요!
• 주소(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7길 16 (가회동)
• 이용시간: 09:00~18:00 (입장마감 17:30)
• 휴무일: 매주 월요일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개관) / 1월 1일
• 주차장: 불가
• 홈페이지: http://www.museum.seoul.kr/
• 문의처: 02-724-0200
서울 종로구 '서울 경모궁지'
서울대학교병원 근처 경모궁지는 원래 사도세자의 사당이 있던 곳이에요. 조선시대엔 창경궁 동쪽 정원인 함춘원이었죠. 1764년 사도세자의 사당을 함춘원으로 옮기고, 정조 때 경모궁으로 이름 바꿨대요. 1785년 정비했지만, 1899년 위패를 종묘로 옮기면서 경모궁은 없어졌어요. 1900년엔 영희전이 들어섰고,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으로 건물 대부분이 사라졌지만, 함춘원의 함춘문만 남았다고 해요.
• 주소(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3 (연건동)
• 주차장: 가능
• 홈페이지: http://tour.jongno.go.kr/
• 문의처: 02-2148-2032
서울 종로구 '홍건익가옥'
서울 필운동 홍건익 가옥은 1934년부터 1936년 사이에 지은 목조 건물이에요. 집과 함께 작은 문, 둥근 돌 우물도 있어요. 원래는 이항복 선생의 집이었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홍건익 씨가 옛날 집을 허물고 새로 지었대요. 이 땅에는 개화사상가 고영주 씨와 한규설 씨 외손자인 심재홍 씨도 살았대요. 집은 구릉 지대에 자리 잡고 있고, 대문부터 안채, 별채까지 건물들이 차례로 배치되어 있답니다.
• 주소(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필운대로1길 14-4 (필운동)
• 이용시간: 10:00~18:00
• 휴무일: 매주 월요일 / 공휴일
• 주차장: 불가
• 문의처: 02-735-1374
서울 종로구 '북촌 8경'
서울 북촌 한옥마을, 8경 코스로 아름다운 한옥과 골목길 여행 어때요? 경복궁, 창덕궁 사이에 있는 북촌은 조선시대 왕족과 사대부들이 살던 곳이에요. 멋진 한옥들이 가득한 북촌 8경 코스는 창덕궁부터 삼청동 돌계단길까지 다양한 볼거리로 가득하죠. 안국역에서 가까워 당일치기 여행으로도 좋아요. 오래된 맛집과 국립현대미술관, 운현궁 등도 함께 즐길 수 있답니다.
• 주소(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길 37 (계동)
• 휴무일: 연중무휴
• 주차장: 불가
• 홈페이지: https://hanok.seoul.go.kr/
• 문의처: 02-2148-4161
서울 종로구 '북촌한옥마을'
서울 북촌은 경복궁, 창덕궁, 종묘 근처에 있는 전통 한옥 마을이야. 가회동, 송현동, 안국동, 삼청동 등에 아름다운 한옥들이 모여 있어 마치 박물관 같지. 조선 시대 양반들이 살던 곳인데, 옛 모습을 많이 간직하고 있대. 1930년대 이후 변화가 있었지만, 지금도 많은 한옥들이 남아 있어. 특히 이웃집과 처마를 나란히 하고 벽을 함께 쓰는 모습은 정겨움을 느끼게 해줘. 북촌 한옥마을을 방문할 땐, 조용히 다니고 주민들 배려하는 침묵관광이 중요해. 단체 관광객은 가이드와 함께 오고, 불법 주차나 소음, 무단 촬영은 하지 말자. 아름다운 북촌을 오래도록 지키려면 우리 모두의 에티켓이 필요해.
• 주소(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길 37 (계동)
• 이용시간: 10:00~17:00
※ 제한시간 : 17:00~익일 10:00 / 특별관리지역(레드존) 방문 금지
• 휴무일: 매주 일요일(골목길 쉬는 날)
• 주차장: 불가능
• 홈페이지: http://hanok.seoul.go.kr/
• 문의처: 북촌마을안내소 02-2148-4161
서울 종로구 '종로 무계원'
서울 종로구 부암동에 있는 무계원은 예전 안평대군 별장 자리에 있는 전통문화 공간이에요. 아름다운 한옥에서 전시, 공연, 교육 같은 다양한 전통문화 프로그램을 즐기며 한국 문화의 매력을 느껴볼 수 있답니다. 옛날 건물에서 우리 문화를 체험하고 싶다면 꼭 방문해 보세요!
• 주소(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의문로11길 4-1 (부암동)
• 휴무일: 월요일, 1월 1일, 설날, 추석날
• 홈페이지: https://www.jfac.or.kr/site/main/content/moogw01
서울 종로구 '건청궁'
서울 경복궁 건청궁은 1873년에 지어진 궁궐로, 명성황후께서 안타깝게 돌아가신 곳이에요. 을미사변이 일어난 곳이기도 하죠. 하지만 건청궁은 우리나라 최초로 전깃불을 밝힌 곳이기도 해요. 미국 유학생 유길준 선생님 덕분에 경복궁에 전기가 들어왔고, 일본이나 중국보다 2년이나 빨랐대요. 건청궁에 있는 '한국의 전기발상지' 돌이 그걸 증명해주네요.
• 주소(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세종로)
• 휴무일: 경복궁 매주 화요일 휴무
(휴무일이 공휴일과 겹칠경우 다음날 휴무)
• 홈페이지: https://royal.khs.go.kr/
• 문의처: 02-3700-3900
서울 종로구 '경운동민병옥가옥'
서울 경운동에 있는 민병옥 가옥은 1930년대 유명 건축가 박길용이 설계한 개량 한옥이에요. 정순주 가옥과 비슷한 구조로, 두 아들을 위해 지은 집이라고 해요. 네모난 터에 남향으로 H자 모양으로 지어졌고, 대문으로 들어가면 마당과 건물이 나와요. 방과 부엌, 마루 등이 잘 연결되어 있고, 사랑방은 손님을 맞는 공간으로 꾸며졌대요. 화장실과 목욕탕도 집 안에 있고, 개량 한옥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귀한 집이랍니다. 지금은 문화재라서 안으로는 못 들어가고 밖에서만 볼 수 있어요.
• 주소(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10길 23-9 (경운동)
• 이용시간: 상시 개방
※ 내부 출입 불가하여 외부만 관람 가능
• 휴무일: 연중무휴
• 주차장: 불가능
• 홈페이지: https://www.heritage.go.kr
• 문의처: 종로구청 문화유산과 02-2148-2036
서울 종로구 '구 서울대학교 본관'
서울대학교 옛 본관은 1931년 일제강점기 경성제국대학 본관 건물로, 한국인 건축가 박길룡 설계, 일본 업체 시공의 3층 벽돌 건물이에요. 1924년 개교한 경성제국대학은 법문학부 등을 두었고, 해방 후 서울대학교가 되었죠. 1972년 서울대학교가 관악구로 이전하면서 옛 서울대 건물로 남았고, 지금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사용하고 있어요. 갈색 타일의 평지붕 건물로, 1930년대 근대주의 건축 양식이 잘 보여요. 아치형 디자인과 곡면 벽면이 세련된 느낌을 주는 멋진 건물이랍니다.
• 주소(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길 3
• 주차장: 있음
• 홈페이지: https://tour.jongno.go.kr
• 문의처: 02-2148-1842
서울 종로구 '구공업전습소본관'
대학로 한국방송통신대 역사관 건물은 1908년 완공된 구 공업전습소 건물이에요. 대한제국 상공업 진흥을 위해 세워진 학교 건물로, 염직, 직조 등 근대 기술을 가르쳤대요. 1907년에 착공해서 1908년에 완공되었고, 일본인 요시다 겐조가 지었대요. 탁지부 건축소 설계로 지어진 2층 목조 건물인데, 좌우 대칭의 H자형 르네상스 건축 양식이래요.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여러 용도로 쓰이다가 현재 모습을 유지하며 한국방송통신대 본관으로 쓰이고 있어요. 대한제국 목조건물 중 원형이 잘 남아 있어 역사적 가치가 아주 커요.
• 주소(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이화장길 81 (동숭동)
• 홈페이지: http://tour.jongno.go.kr/
• 문의처: 02-2148-1842
서울 종로구 '독립선언문 배부 터'
서울 종로구 운현궁 근처에 3·1운동 당시 독립선언문을 나눠준 곳이 있어요. 작은 표지석이 있는데, 민족대표 33인과 위안부 피해자 이름이 새겨진 돌도 함께 있대요. 근처 보성인쇄소에서 선언문을 찍어 천도교 대교당(지금은 배부 장소 옆)에 모아뒀다가 전달했다고 해요. 평범한 길가지만, 우리나라 독립을 위해 싸웠던 역사적인 곳이니 꼭 한번 찾아보세요.
• 주소(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일대로 457 (경운동)
• 이용시간: 상시
• 문의처: 02-2236-9134
서울 종로구 지역의 인기 맛집 찾아보기
종로구 맛집 바로가기
위 내용은 구석구석 여행지에서 추출한 정보입니다.
[출처: 대한민국 구석구석]
'여행(관광)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 등 관광지 (0) | 2025.02.13 |
---|---|
서울 종로구 경복궁 등 여행지 (1) | 2025.02.13 |
서울 종로구 경교장 등 관광지 (0) | 2025.02.13 |
서울 은평구 북한산 족두리봉 등 관광지 (0) | 2025.02.13 |
서울 용산구 남산서울타워 한복문화체험관 등 가볼 만한 곳 (1) | 2025.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