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구에 소재한 관광지 "남산순환나들길, 남산인권숲, 경희궁 숭정전, 덕수궁, 목멱산봉수대터, 덕수궁 대한문, 관훈동 민씨 가옥 (구 부마도위박영효가옥), 삼청동오위장김춘영가옥, 순정효황후윤씨친가, 해풍부원군윤택영댁재실" 정리
서울 중구 '남산순환나들길'
서울 남산은 시민들이 좋아하는 명소이자 랜드마크예요. 남산 둘레길은 남산서울타워에서 시작해서 남산을 한 바퀴 도는 7.3km 코스로, 약 2시간 30분 걸린답니다. 휠체어나 유모차도 이용하기 좋은 북측순환로는 무장애 산책로로, 차와 자전거는 못 들어와서 안전해요. 안중근 의사 기념관, 잠두봉 포토존, 사랑의 자물쇠, 남산서울타워 등 볼거리도 가득하답니다. 북측순환로는 남산케이블카에서 국립극장까지 이어져요. 길 중앙 점자블록은 배려의 길이라고도 불린답니다.
• 주소(위치): 서울특별시 중구 남산공원길 609 (예장동)
• 이용시간: 상시 개방
• 휴무일: 연중무휴
• 주차장: 가능
• 홈페이지: https://www.durunubi.kr/
• 문의처: 02-3783-5900
서울 중구 '남산인권숲'
서울 남산에 있는 남산인권숲은 예전 중앙정보부 자리였어요. 지금은 숲으로 변했는데, 민주주의를 기념하는 표지판이랑 조형물이 있어요. 그냥 쉬는 곳이 아니라, 역사 배우는 데도 좋은 곳이랍니다. 남산에 가면 꼭 들러보세요. 옛 역사를 느끼면서 멋진 숲도 즐길 수 있어요.
• 주소(위치):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26가길 6 (예장동)
서울 중구 '경희궁 숭정전'
서울 경희궁 숭정전은 임금님의 즉위식 등 중요한 행사를 했던 곳이에요. 원래는 인조 임금 아버님의 집 자리였는데, 광해군 때 궁궐로 지어졌대요. 일제강점기 때는 학교로 쓰이다가, 1926년에는 조계사로 옮겨졌고, 광복 후 동국대학교 법당으로 사용되다가, 1976년 현재 위치로 옮겨졌어요. 숭정전은 멋진 건물인데요, 2중 기단 위에 아름다운 지붕과 장식들이 있고, 임금님이 다니는 계단은 다른 계단과 달라요. 1980년 경희궁이 사적으로 지정된 후, 옛 모습을 찾는 발굴 조사와 복원 사업을 거쳐 1989년에 경희궁 본래 자리에 다시 지어졌답니다.
• 주소(위치):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동2가 192-5
• 이용시간: 09:00 ~ 18:00
• 휴무일: 월요일
• 주차장: 있음
• 홈페이지: https://www.heritage.go.kr
• 문의처: 02-3396-5843
서울 중구 '덕수궁'
덕수궁은 원래 왕궁이 아니었어요. 성종의 형 집이었는데, 임진왜란 때 불타서 행궁으로 쓰였대요. 선조는 의주 피난 후 덕수궁에 머물렀고, 광해군은 경운궁으로 이름을 바꿔 7년간 왕궁으로 사용하다 창덕궁으로 옮겼어요. 270년간 별궁으로 쓰이다가 고종이 다시 왕궁으로 삼았고, 경운궁에서 덕수궁으로 이름이 바뀌었죠. 고종은 덕수궁 함녕전에서 돌아가셨고, 이곳은 3·1운동의 계기가 되었어요. 지금은 대한문, 중화전, 석조전 등 건물이 남아있대요. 덕수궁은 구한말 고종황제의 슬픈 역사가 있는 곳이에요.
• 주소(위치):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99
• 이용시간: - 일반 09:00~21:00 (입장마감 20:00)
- 석조전 09:30~17:30 (마지막 해설 16:30 / 인터넷 사전예약제)
- 돈덕전 09:00~17:30 (입장마감 17:00)
- 중명전 09:30~17:30 (입장마감 17:00)
• 휴무일: 매주 월요일
※ 단, 정기휴일이 공휴일 및 대체공휴일과 겹칠 경우에는 그 다음 첫 번째 비공휴일이 정기휴일임
• 주차장: 불가
• 홈페이지: https://royal.khs.go.kr/
• 문의처: 사무실 02-771-9951
안내실 02-751-0734
석조전 안내실 02-751-0753
서울 중구 '목멱산봉수대터'
옛날 급한 소식을 전하던 남산 봉수대는 높은 산에 불을 피워 연기나 불빛으로 신호를 보냈어요. 1394년 한양으로 도읍을 옮긴 뒤 500년 가까이 썼고, 목멱산 봉수대나 경봉수대라고도 불렀대요. 적의 상황에 따라 불의 개수를 다르게 했고, 전국 봉수의 중앙 역할을 했던 중요한 곳이었죠. 지금은 터만 남아 있지만, 자료를 토대로 한 곳을 복원했대요.
• 주소(위치): 서울특별시 중구 예장동 8-1
• 이용시간: 상시 개방
• 휴무일: 연중무휴
• 주차장: 불가
• 홈페이지: https://www.khs.go.kr/
• 문의처: 서울 중구청 문화재관리팀 02-3396-5843
서울 중구 지역의 인기 맛집 찾아보기
중구 맛집 바로가기
서울 중구 '덕수궁 대한문'
덕수궁 정문인 대한문은 '한양이 크게 번창한다'는 뜻이에요. 원래 정문은 인화문이었지만, 환구단 주변이 새 도심이 되면서 동문인 대안문이 정문 역할을 했대요. 1906년에 대한문으로 이름 바꾸고, 1970년대에 태평로 확장 공사로 지금 자리로 옮겨졌대요. 대한문 지나 금천교는 1986년에 다시 찾아 복원했대요.
• 주소(위치):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99 (정동)
• 이용시간: [일반관람] 1월~12월 09:00~21:00 (입장마감 20:00)
[전시관]
- 석조전 1월~12월 09:30~17:30 (마지막 해설 16:30)
- 돈덕전 1월~12월 09:00~17:30 (입장마감 17:00)
- 중명전 1월~12월 09:30~17:30 (입장마감 17:00)
• 휴무일: 매주 월요일
※ 단, 정기휴일이 공휴일 및 대체공휴일과 겹칠 경우에는 개방하며, 그 다음의 첫 번째 비공휴일이 정기휴일임
• 주차장: 불가
• 홈페이지: https://royal.khs.go.kr/
• 문의처: 02-771-9951
서울 중구 '관훈동 민씨 가옥 (구 부마도위박영효가옥)'
서울 관훈동에 있는 민씨 가옥은 조선 말기 유명한 인물 민영휘 가족이 살던 집이에요. 민영휘는 일제강점기 고위 관리로 큰 재산을 모았고, 관훈동에 넓은 땅을 사서 가족들이 함께 살았대요. 예전에는 여러 채의 건물이 있었지만, 지금은 일부만 남아 서울시 민속자료로 보호받고 있답니다. 민영휘 가족들은 관훈동과 경운동에 살았고, 1970년대까지 후손들이 소유하다가, 1986년 경인미술관으로 넘어갔어요. 1990년대에는 남산골 한옥마을로 옮겨져서 지금까지 보존되고 있대요.
• 주소(위치):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34길 28
• 이용시간: [하절기(4월~10월)] 09:00~21:00
[동절기(11월~3월)] 09:00~20:00
• 휴무일: 월요일
• 주차장: 없음
• 홈페이지: ▪ https://www.heritage.go.kr
• 문의처: 02-3396-5843
서울 중구 '삼청동오위장김춘영가옥'
서울 종로구 삼청동에 있는 김춘영 가옥은 고종 때 오위장 김춘영이 1890년대에 지은 집이에요. 조선 시대 서울 집의 일반적인 모습인데, 원래는 삼청동에 있다가 1996년 남산 한옥마을로 옮겨졌대요. 안채, 사랑채, 대문채로 이루어져 있고, ㄷ자 모양 안채와 ㅡ자 모양 대문채, ㄱ자 모양 사랑채가 연결돼 있죠. 안채는 안방, 부엌, 찬마루, 광으로 구성됐고, 특이하게 부엌 옆 찬마루와 광이 문간방과 연결돼 있어요. 사랑채는 사랑방, 사랑대청, 건넌방이 있고 작은 마당도 있대요. 화재 예방을 위해 벽을 쌓고, 추녀 끝에 태극 문양을 새긴 게 특징이에요. 서민 집 양식이지만, 중상류층이 살았을 것으로 추정되네요.
• 주소(위치):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34길 28 (필동2가)
• 이용시간: [하절기(4월~10월)] 09:00~21:00
[동절기(11월~3월)] 09:00~20:00
• 휴무일: 월요일
• 홈페이지: https://ncms.nculture.org/house/story/4943
• 문의처: 02-2261-0571
서울 중구 '순정효황후윤씨친가'
서울 남산골 한옥마을에 있는 순정효황후 윤씨 친가는 조선시대 최고급 집 형태를 그대로 보여줘요. 옥인동 윤씨 가옥을 본떠서 다시 지은 거고, 원래는 종로구 옥인동에 있었대요. ㅁ자 모양에 동쪽으로 문이 나 있고, 사랑채는 남산을 내려다보는 높은 곳에 지었어요. 안채는 넓은 마루가 동쪽을 향하고 있고, 특이한 기둥 구조와 지붕 모양이 눈에 띄죠. 창문은 옛날 방식 그대로고, 부엌에는 환기를 위한 창이 있어요. 정교한 목조 건축 기술이 돋보이는 아름다운 집이에요.
• 주소(위치):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34길 28
• 이용시간: 하절기(4월~10월) 09:00~21:00
동절기(11월~3월) 09:00~20:00
• 휴무일: 매주 월요일
※ 단, 월요일이 공휴일(임시공휴일, 대체공휴일 포함)인 경우 정상 운영
※ 공휴일 다음날 정기 휴관
• 주차장: 있음
• 홈페이지: ▪ https://www.hanokmaeul.or.kr/
• 문의처: 02-6358-5533(남산골한옥마을)
서울 중구 '해풍부원군윤택영댁재실'
순종의 장인 윤택영이 딸 순정황후가 황태자비 될 때 지은 집이에요. 경운궁 재목으로 지었고, 홍송이라는 나무를 썼대요. 원래 동대문구 제기동에 있었는데, 이곳으로 옮겨 복원했대요. 집 모양이 특이하게 '으뜸 원'자 모양이에요. 안쪽 높은 곳엔 사당이 있고, 그 앞에 본채가 있어요. 본채는 안채와 사랑채가 이어져 있고, 양옆에 행랑채가 있어요. 사당은 다시 지었고, 앞에는 화단이 있어요. 마당으로 드나드는 문이 있고, 지붕은 팔작 기와지붕이에요. 사랑채는 다른 곳보다 지붕이 더 화려하고, 전체적으로 살림집보다는 재실 같은 분위기예요. 안방과 사랑방이 마주 보는 등 특징이 많아요.
• 주소(위치):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34길 28
• 문의처: 02-3396-5882
서울 중구 '박정희대통령가옥'
박정희 전 대통령 가족이 1958년부터 1961년까지 살았던 장충동 집이에요. 1930년대 후반에 지어진 집 중에 유일하게 남아서 국가등록문화유산이 되었대요. 옛날 사진이랑 기사를 보고 똑같이 고쳐서 2015년부터 일반인도 볼 수 있게 했대요. 면적은 128.93㎡이고, 우리나라 주거 역사를 알 수 있는 중요한 곳이랍니다.
• 주소(위치): 서울특별시 중구 다산로36가길 25 (신당동)
• 이용시간: 10:00~18:00
• 휴무일: 매주 월요일, 1월1일, 설·추석 기념 행사시(사전공지 예정)
• 주차장: 불가능
• 홈페이지: https://www.heritage.go.kr/
• 문의처: 02-2231-5143
서울 중구 '남산골한옥마을'
서울 남산골한옥마을은 1998년에 옛 수도방위사령부 자리에 지어졌어요. 넓은 부지에 한옥 다섯 채와 전통정원, 공연장 등이 있어요. 도심 속에서 전통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곳이죠. 아름다운 정원과 계곡도 볼 수 있고요. 옛날 한옥을 그대로 옮겨 놓았고, 옛 생활 모습도 볼 수 있대요. 한복 입어보기, 전통 차 마시기 등 다양한 체험도 있고요. 주말에는 전통 혼례도 볼 수 있다니, 가족 나들이로 정말 좋아요. 전통놀이도 즐길 수 있고, 해설사분들이 설명도 잘 해주신대요.
• 주소(위치):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34길 28 (필동2가)
• 이용시간: [전통가옥 및 서울남산국악당]
하절기(4월~10월) 09:00~21:00
동절기(11월~3월) 09:00~20:00
[전통정원 관람]
24시간 개방
• 휴무일: 매주 월요일
※ 단, 월요일이 공휴일일 경우 익일 휴무
• 주차장: 가능 (인근 유료 주차장 이용)
• 홈페이지: http://hanokmaeul.or.kr
• 문의처: 국악당 공연·행사 02-6358-5500
한옥마을 전통가옥 02-6358-5533
한옥마을 전통혼례 02-6358-5543
촬영 및 대관문의 02-2264-4412
서울 중구 '경성 부민관 폭탄 의거지'
1945년 7월 24일, 서울 종로구에서 젊은이들이 친일파 대회를 막으려 경성부민관에 폭탄을 터뜨렸어요. 경성부민관은 극장이자 여러 행사를 했던 곳이었죠. 젊은 독립운동가들은 다이너마이트로 폭탄을 만들어 설치했고, 대회 중 폭탄이 터지면서 대회는 끝났어요. 이 사건은 우리나라의 독립 의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역사적 순간이에요. 지금은 서울시의회 자리에 그때의 이야기를 기리는 표지석이 있어요.
• 주소(위치):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25 (태평로1가)
• 휴무일: 주말, 공휴일
• 주차장: 없음
• 홈페이지: http://mfis.mpva.go.kr
• 문의처: 02-3396-5842
서울 중구 '대한제국군 서울시가 전투지'
서울에서 대한제국 군인들이 일본군과 처절하게 싸웠던 이야기예요. 나라 지키지 못한 슬픔에 장교가 스스로 목숨을 끊자, 다른 군인들도 일본군과 싸움을 시작했대요. 힘든 싸움 끝에 많은 군인들이 전사하거나 다쳤지만, 이 싸움은 항일 의병들의 힘을 더욱 키웠다는 중요한 의미를 가져요. 지금은 그 흔적이 서울대한상공회의소 부지에 남아있답니다.
• 주소(위치):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39
• 이용시간: 상시
• 휴무일: 연중무휴
• 주차장: 불가
• 홈페이지: http://mfis.mpva.go.kr
• 문의처: 02-3396-5842
서울 중구 '서울 구 러시아공사관'
1890년 완공된 러시아공사관, 즉 아관은 르네상스식 2층 벽돌 건물이에요. 연산군의 마장터 자리에 세워졌고, 고종이 일본을 견제하려 미국, 영국 영사관 근처에 지었대요. 을미사변 후, 고종은 친일 내각에 맞서 1896년 2월 1일 세자와 함께 아관으로 피신했어요. 이른바 아관파천으로 친러 박정양 내각을 세우고 국정을 처리하다가 이듬해 경운궁으로 돌아갔죠. 아관에서 고종은 엄상궁과 영친왕을 얻었대요. 러시아공사관은 1,102㎡ 넓이랍니다.
• 주소(위치):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길 21-18 정동공원
• 홈페이지: http://www.junggu.seoul.kr/tour/
문화재청 http://www.cha.go.kr
• 문의처: 02-3396-5882
서울 중구 지역의 인기 맛집 찾아보기
중구 맛집 바로가기
위 내용은 구석구석 지역별 관광지에서 가져온 일부 정보입니다.
[출처: 대한민국 구석구석]
'여행(관광)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중구 명동관광정보센터 등 숨은 명소 (1) | 2025.02.14 |
---|---|
서울 중구 명동 등 여행지 (1) | 2025.02.14 |
서울 종로구 종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 가볼 만한 곳 (0) | 2025.02.14 |
서울 종로구 서촌마을 등 관광지 (1) | 2025.02.14 |
부산 남구 황령산 등 숨은 명소 (0) | 202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