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

2025년 최저시급 10,030원 - 월급, 실수령액 계산법 총정리

by 참도움 2024. 12. 30.

2025년 최저시급 10,030원 확정! 그럼 월급은 얼마나 될까? 세금 떼면 남는 건? 주휴수당은 어떻게 계산하지? 월급부터 실수령액까지 계산하는 방법과 주휴수당 계산법과 꿀팁도 있으니 한번 쭈~욱 읽어보세요!

 

2025년 최저시급 10,030원 - 월급, 실수령액 계산법 총정리

 

2025년 최저시급과 월급 계산법, 실수령액까지 한 번에 정리

☆ 2025년 최저시급 및 관련 정보 ☆

구분 내용
2024년 최저시급 9,860원
2025년 최저시급 10,030원
인상액 170원
인상률 1.70%
월급(세전) 2,096,270원 (주 40시간 기준, 주휴수당 포함)
월급(세후) 약 1,900,000원 (4대 보험 공제 기준)
주휴수당 포함 시급 12,040원
연봉(세전) 약 25,155,240원
적용 시작일 2025년 01월 01일

 

 

1. 2025년 최저시급은 얼마?

2025년 최저시급 10,030원. 이는 2024년 9,860원에서 170원 오른 금액으로, 인상률은 1.7%에 불과.

▷ 연도별 최저시급 및 인상률

연도 최저시급 인상률
2018년 7,530원 16.4%
2019년 8,350원 10.9%
2020년 8,590원 2.9%
2021년 8,720원 1.5%
2022년 9,160원 5.1%
2023년 9,620원 5.0%
2024년 9,860원 2.5%
2025년 10,030원 1.7%

 

이는 최근 10년 내 두 번째로 낮은 인상률이라 근로자와 자영업자 모두에게 논란이 되기도 했죠.

 

2. 2025년 월급 계산 (주휴수당 포함)

최저시급 10,030원을 기준으로 월급을 계산해보면, 주 40시간 근무 시 월 209시간이 소정 근무시간으로 책정됩니다.

  • 기본 월급: 10,030원 × 209시간 = 2,096,270원
  • 주휴수당 포함 월급: 동일하게 계산됩니다.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은 주 15시간 이상 근로자가 주 5일 근무 조건을 충족했을 때 지급받는 수당입니다. 간단히 말해, 주 40시간 근무 기준으로 하루치 임금을 추가로 받는 거죠.

  • 예시: 10,030원 × 8시간 = 80,240원(주휴수당)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건 세후 실수령액인데요. 세금과 4대 보험 공제를 제외하면 생각보다 적어질 수 있어요.

 

 

3. 실수령액 계산 (4대 보험 공제 포함)

실제 근로자가 받을 금액은 세전 월급에서 공제를 뺀 금액입니다. 주요 공제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민연금: 월급의 4.5%
  • 건강보험: 월급의 3.545%
  •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료의 12.95%
  • 고용보험: 월급의 0.9%

※ 계산 예시:

  • 월급 2,096,270원 기준
    • 국민연금: 약 94,332원
    • 건강보험: 약 74,316원
    • 장기요양보험: 약 9,631원
    • 고용보험: 약 18,867원
    • 합계 공제액: 약 197,146원
    • 실수령액: 약 1,899,124원

 

▷ 2025년 최저임금 세부 계산

구분 계산식 결과
월급(세전) 시급 × 월 소정 근로시간(209시간) 2,096,270원
주휴수당 포함 시급 × (소정근로시간 + 주휴시간) 2,516,832원
4대 보험 공제 총 급여 × 9.4% 약 197,049원 공제
세후 월급 세전 월급 - 공제 약 1,900,000원

 

4. 최저시급 계산 꿀팁  계산기 활용하기

'최저시급 계산기'를 활용하면 간단히 월급과 연봉, 실수령액까지 계산할 수 있습니다. 포털에서 '2025 최저시급 계산기'를 검색해보던지, 아래 고용노동부 최저임금 모의계산기를 활용해 보세요. (이미지 클릭으로 바로가기 가능)

고용노동부 최저임금 모의계산기
고용노동부 최저임금 모의계산기 (바로가기: 이미지 클릭)

 

 

5. 2025년 최저시급 인상, 현실적인 문제점은?

최저시급 인상은 근로자들에게 희소식처럼 보이지만, 인상률이 낮아 실질적인 체감은 크지 않을 수 있습니다. 더불어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에게는 추가적인 인건비 부담이 발생하죠.

 

6. FAQ 많이 묻는 질문(FAQ)

Q. 최저시급은 모든 근로자에게 적용되나요?

네, 정규직, 계약직, 알바 상관없이 모두에게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Q. 세전 월급과 세후 월급 차이가 큰 이유는 뭔가요?

공제 항목(국민연금, 건강보험 등) 때문입니다.

 

Q. 주휴수당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주 15시간 이상, 주 5일 근무 조건을 만족하면 하루치 임금을 추가로 지급받습니다.

 

최저시급이 오르면서 근로자들에게는 좋은 소식이지만, 여러 공제 항목을 감안하면 실수령액은 기대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계산법을 숙지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해야 하며, 계산기 활용도 잊지 말고요!